쿠팡이 이제 뉴욕 증권 거래소에 상장을 준비하면서 3월 11일 상장했다. 해외주식 거래하는 분들이 매매를 할 수 있다는 전망이 있었다. 국내에서는 쿠팡 관련주들이 급등세를 많이 보였다. 물류 관련주, ott관련주, 전자결제 관련주 등 관련주들이 급등을 많이 했다. 오늘은 상장이 임박한 쿠팡과 이커머스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자.
쿠팡 뉴욕증시 상장 이유
쿠팡이 뉴욕증시에 상장을 한다는 소식을 듣고 뉴욕증시 상장 이유가 궁금했을 것이다. 아무래도 큰 물에서 상장을 하는 것이 우리나라보다 훨씬 더 많은 기관투자자들과 접촉을 할 수 있고 그만큼 쿠팡의 가치도 높게 평가를 받을 것이고 쿠팡에 들어오는 신규 자금도 더 클 것이고 이런 이유들 때문에 미국 시상에 상장을 한 것으로 보인다.
쉽게 이야기하면 프로야구선수가 메이저리그에 가면 연봉도 더 높고 더 높게 평가받는 것과 같은 원리다. 이렇게 보면 가장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쿠팡이 한국에서 상장을 하는 것보다 미국에서 상장하면 훨씬 더 투자자들이 많고 자금도 훨씬 풍부한 시장이기 때문에 더 좋게 평가를 받을 것이다.
하지만 쿠팡이 2020년 말 기준으로 누적적자가 41억에 달한다는 뉴스가 있었다. 지난 몇 년 동안 빠른 배송에 투자를 하면서 사실 매출과 거래 규모는 엄청 빠르게 증가를 했지만 그만큼 적자고 빠르게 확대가 됐다. 처음에는 물건을 팔 때 사 온 가격보다 더 싸게 물건을 팔면서 가입자와 이용률을 증가시키는 전략을 취했던 것이다.
쿠팡의 적자가 커졌기 때문에 외부에서 자금을 유치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사업을 할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쿠팡에 가장 많은 자금을 조달해 준 곳이 소프트뱅크다. 작년 소프트뱅크가 운영하는 비전 펀드가 약간 어려움을 겪으면서 막대한 규모의 투자가 어려워진 상황이다.
그러면 소프트뱅크가 아닌 제삼자가 투자를 고려해볼 수 있다. 쿠팡의 기업가치가 30조~50조 이렇게 거론이 되고 있으니까 쉽게 많은 돈을 투자할 기업이 없는 상황이다. 이렇다 보니까 시장에 상장을 해서 투자자들에게 투자를 받겠다는 전략으로 보면 될 것 같다.
만약에 쿠팡 기업가치가 50조라고 본다면 10%의 지분만 투자하려고 해도 5조라는 큰 금액이 있어야 하는데 사실 우리나라 상장사들 중에 5조를 바로 투자해줄 회사는 거의 없다. 어떤 사업자로부터 투자를 유치받기는 어려웠을 것이고 미국 증시로 간 것으로 보인다.
이커머스 대장주는?
국내에 이커머스 대장주는 아무래도 네이버라고 본다. 근데 우리나라만 특이한 상황이다. 해외를 보면 글로벌 시장은 거의 아마존이 잡고 있고 중국만 보더라도 알리바바 일본은 라쿠텐 이렇게 1위 사업자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쿠팡, 네이버부터 시작해서 지마켓, 옥션, 11번가, 이마트까지 엄청 다양한 사업자들이 있어서 시장이 정말 파편화되어있는 상황인데 최근에 정리가 되어가는 것 같다.
최근에 거래대금이 성장하고 있는 것을 보면 쿠팡과 네이버가 압도적으로 성장을 하고 있고 나머지 우리가 알고 있는 사업자들은 오히려 시장 성장률보다 성장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말은 쿠팡과 네이버에 점유율을 빼앗기고 있다는 뜻이다. 앞으로는 쿠팡과 네이버가 우리나라 이커머스 시장을 상생하면서 양분할 것으로 보인다.
쿠팡 상장일
뉴스에서는 쿠팡의 기업가치가 거의 30조~50조에 달할 것이라고 했다. 2020년 쿠팡의 연간 실적이 처음으로 공개됐었는데 2019년보다 훨씬 더 큰 폭으로 성장을 했다. 코로나 영향도 있었겠지만 30조~50조 수준이 충분히 가능한 숫자다. 쿠팡은 3.11일 뉴욕 증시에 상장됐다.
희망가보다 높은 공모가는 35달러다. 또한 종가는 41% 상승하며 마감했다. 시가총액은 100조 원이다. 미국 뉴욕 증권 거래소에 태극기가 걸렸다. 현재 우리나라 이커머스 시장을 바라보고 쿠팡을 평가한다는 말이 지배적이다.
앞으로 쿠팡 관련주 전망은?
기대 이상으로 성공한 상장을 보인 쿠팡은 미국 상장 효과를 톡톡히 누리는 것 같다. 미국이나 한국이나 같은 시장이긴 하지만 역시 받아들이는 트렌드는 다른 것 같다. 아무리 적자 기업이라고 해도 성장성이 보이면 높은 가치를 인정하는 미국이다. 많은 분들이 제일 우려했던 것이 적자 문제였다.
2년 전만 해도 쿠팡 부도설도 돌았다. 당일날 배송하고 싼값에 파는 전략을 했던 쿠팡이다. 일반적인 온라인 상거래업체들은 직접 물건을 사지 않는다. 근데 쿠팡은 물건을 직접 산다. 그래서 조 단위 적자가 났던 건데 이번 상장을 통해서 한 가지 짐을 덜어냈다. 앞으로는 네이버와 경쟁을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물류창고가 없다. 하지만 쿠팡은 물류창고를 엄청 늘릴 것이다.
쿠팡의 강점은 온라인도 우수하지만 오프라인 창고를 엄청나게 지니고 있다. 기존의 오프라인 업체나 온라인 이커머스 업체들도 긴장을 안 할 수가 없을 것이다. 네이버의 시총이 50 조고 카카오가 40 조니까 쿠팡에 비하면 너무 싸 보인다. 적자 나는 기업하고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가 무엇일까.
어찌 됐던 시장이 인정한 거니까 앞으로 몇 년간은 지켜봐야겠지만 쿠팡의 독주가 일어날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졌고 미국 증시에 투자자들이 한국의 쿠팡은 미국의 아마존처럼 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높은 벨류를 준 것이 아닐까. 주목해야 할 부분은 쿠팡 효과라고 쿠팡이 이제 90조 원에 거래가 되는데 이것에 관련해서 서로 비교평가를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네이버나 카카오, 이마트 등 온라인 상거래 비즈니스 하는 업체들이 너무 초라할 정도로 싸 보인다. 그 효과는 있기 때문에 주가에는 당연히 긍정적일 것 같다.
끝으로
쿠팡에 투자를 하게 되면 물류창고라든지 인프라를 더 넓힐 것이다. 여기에 관련된 회사들 결재, 배송업체 등의 기업들한테는 주가 상승 계기가 될 수 있다. 만약 쿠팡이 독주를 하게 되면 도태되는 기업은 반드시 나올 것이다. 앞으로 그것을 중심적으로 관찰하고 거기서 꺾이는 기업은 많은 고려를 해봐야 할 것 같다. 앞으로 긴장을 하면서 산업의 변화를 잘 체크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