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카카오톡 키워드 알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이미 알고 계신 분들도 계실 것이고 모르시는 분들도 계실 것이다. 설정 법이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도무지 설정을 어떻게 하는지 찾지 못하시는 분들도 계셔서 이렇게 포스팅을 하게 되었다.
카카오톡 키워드 알림 설정을 배우기에 앞서 이 기능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궁금하실 수 도 있다. 키워드 알림은 본인이 특정 키워드를 지정하고 지정된 단어가 메시지에 수신될 때 울리는 알림 기능이다. 또한 적용된 키워드는 알림을 off 한 채팅방에서도 알림이 울리게 설정된다. 그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카카오톡 키워드 알림 설정하는 법
- 카카오톡을 실행시킨 후 (더보기...)을 누른 후 우측 상단 설정 톱니바퀴를 누른다.
- 설정창을 바로 가려면 카카오톡을 실행시킨 후 우측 상단을 바로 누르면 편집, 친구 관리, 전체 설정이 뜬다.
- 전체 설정과 친구 관리, 편집이라는 카테고리가 생성되며 전체 설정을 눌러준다.
- 전체 설정으로 들어오게 되면 중간 부분에 개인 보안과 알림이라는 카테고리가 있다. 우리가 봐야 할 것은 알림이다.
- 알림에 들어가게 되면 메시지 알림 on/off, 소리 on/off 등 여러 기능들이 나오는데 메시지 알림은 on으로 켜 두시고 소리 설정이나 진동을 꺼도 상관없다.
- 알림 화면에서 하단 부분쯤에 키워드 알림이라는 곳이 있다. 키워드 알림으로 들어가게 되면 키워드 알림을 켜고 끄는 버튼이 있다. 당연히 켜야 하고 본인이 원하는 키워드 추가를 해줘야 한다. 본인이 원하는 단어를 넣기만 하면 알림 설정은 끝이 난다.
- 해당 키워드가 카카오톡 메시지에 올라오게 되면 알림이 울리게 된다. 원하는 단어가 메시지로 출력되면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키워드 알림은 재난 경보 문자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아무리 폰을 매너모드로 해도 무조건 알림이 울리게 된다.
- 카카오톡을 통해 리딩을 받으시는 분들은 필수라고 볼 수 있다. 많이들 오픈 채팅을 사용하는데 오픈 채팅의 알림은 끄고 키워드 알림만 사용해서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카카오톡 키워드 알림 주의 사항
카카오톡 모바일 카카오톡과 pc버전의 키워드 알림은 서로 동기화가 된다. 또한 키워드는 최대 20개까지 등록이 가능하다. 그리고 모바일과 pc를 서로 동기화를 원한다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 후 사용해야 한다. 간단하게 카카오톡 키워드 알림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반응형
댓글